기본 논리게이트(AND, OR, NOT), UNIVERSAL 게이트(NAND, NOR), EXCLUSIVE-OR, NOR 게이트, DE MORGAN 정리와 BOOLEAN ALGEBRA, 기본 연산회로, 비교회로 및 DISPLAY 회로, 부로변환 회로, 병렬 가산기 및 감산기 등에 대해 학습한다.
방사선학 전공자 중 처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C언어를 통해 프로그래밍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컴퓨터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하여, 디지털 영상처리 및 영상장비 등 방사선학과 관련된 분야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초를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함
방사선 생물학 일반, 방사선화학작용, 포생존 이론 및 모델, 세포효과와 감수성 및 세포장애의 회복, 방사선효과의 수식, 조직, 장기의 효과, 전신조사의 급성효과, 발생에 대한 효과, 방사선의 유전적 효과와 이용, 만발성 장애, 방사선과 환경, 방사선의학의 위험과 혜택 등에 대해 학습한다.
방사선 관리학 일반, 방사선 관리의 대상이 되는 선원, 방사선 관리의 기본 개념, 방사선방호기준, 방사선 관리의 대상, 의료피폭 관리, 방사선 진료 종사자 및 환자의 방사선 방호, 방사선의 피폭관리 및 방사선 계측, 방사선 차폐계산 및 방사선 방호용 기구, 방사성 오염의 제거,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와 처분, 방사선 사고와 대책 등에 대해 학습한다.
MRI의 기본원리, 자화의 이완, 스핀에코와 경사자장에코, 영상화 과정, MR 영상화 파라미터, 펄스시퀀스, MR 유속현상, 자장의 특성과 MR 조영제, MR 인공물, MRI장비 및 설치, MR의 생물학적 효과와 안전, 최신 영상 기법, 영상분석, MR의 해부학적 분석 등에 대해 이론과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치료기술학 서론, 치료기술의 생물학 기초, 방사선 치료 장치, 치료기술의 물리적 기초, 수술요법 병용과 특수조사방식, 조직등가물질과 치료보조기구, 시간적 선량 분포에 대한 치료 기술, 공간적 선량분포에 의한 치료기술, 방사선치료계획과 환자 setup, 3D Conformal Therapy, 방사선 치료의적정진료 보장 등에 대해 이론과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X-선의 발생과 감약, X-선관장치와 부속기기, X-선고전압장치와 제어장치, 의료영상 sensor와 영상시스템, X-선 진단장치, Digital X-선 촬영장치, 전산화단층촬영장치, 자기공명영상장치, 핵의학진단장치, 초음파영상진단장치, 방사선진단장치 및 기자재의 기준규격 등에 대해 이론과 실험을 통해 학습한다.
뇌신경계 방사선과학, 뇌신경계 영상학, 뇌혈관 촬영과 중재적 시술, 간 질환의 영상진단, 핵의학의 전반적인 이해, Alimentary tract., Overview of the Musculoskeletal radiology, Imaging of obstetrics, Mammography, 흉부 방사선과 총론 등에 대해 학습한다.
본 과목의 목적은 방사선학과 학생들이 원자력공학 전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자력에너지의 생성과 관련된 기본적인 원리와 그 응용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핵반응 및 방사선에 대한 소개, 중성자에 의한 핵분열 및 연쇄반응, 원자로의 종류와 구성, 중성자확산 및 원자로 이론, 열전달 기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